계획하고, 기록하는 삶

[ADsP] 14회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직장인 독학/합격 후기 본문

커리어, 공부/data&research

[ADsP] 14회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직장인 독학/합격 후기

yoloby 2017. 10. 4. 23:19

 [ADsP]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독학방법 TIP & 합격 후기




빅데이터 분야에서 최초로 국가공인 자격증이 된, 

데이터분석 전문가/준전문가 독학방법 tip과 합격후기를 포스팅 해볼까 합니다. :) 


우선 해당 자격증은 '한국데이터진흥원'에서 주최하에 국가공인이 되었구요, 

준전문가 / 전문가 두가지 단계의 자격증입니다. 


1년에 4회정도 시험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각 시험일정 및 자격요건등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 http://www.dbguide.net/index.db




우선 합격 후기에 앞서, 합격 인증을 해볼까 합니다! 

아~ 주 턱걸이네요ㅎㅎ 아주 전략적이고 효율적으로 합격했어요. 


각 과목별로 40% 미만은 과락, 전체 60점 이상 통과 입니다. 





각 과목별로 점수에 차이가 있죠 ? 

1. 데이터 이해 : 20점 만점 

2. 데이터 분석 기획 : 20점 만점

3. 데이터 분석 : 60점 만점


각 과목별로 내용을 구분해보자면, 1) 2) 의 경우 이론과 암기위주의 내용이구요. 

3) 의 경우, 통계 지식과 함께 R 언어을 활용한 결과 해석 위주의 내용입니다. 


그렇다면, 

각 과목별 공부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 전에, 제가 참고한 도서를 소개해드릴게요. 



<참고 도서>


아래 1)요약집 과 2)기본서 이렇게 두가지 책을 참고했습니다. 


1) 요약집 같은 경우는, 시대고시 책을 참고했어요. 


장점 : 요약된 내용과 기출 및 변형문제가 있어 활용하기 좋다. 

단점 : 개정된 내용 반영도가 낮고, 워낙 양이 방대하여 요약본만 보기에는 리스크가 큼.


 


2)기본서  같은 경우,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에서 출판된 책이에요.


장점 :  가장 내용이 정확하고 개정된 내용이 잘 반영되어 있다.

단점 : 책 자체가 무려 1,000page에 달하도록 어마어마하게 두껍고,

문제풀이가 적다. 


 


시간적 여유가 있는 학생분들은 기본서만 봐도 좋을것 같구요, 

직장인 분들은 요약집 위주로 공부, 내용이 부실한 부분은 기본서를 참고하는게 좋을것 같아요.


저같은 경우는 직장인이고, 주로 주말이나 퇴근후 시간을 활용해서 실제 공부기간이 2주가 채 안됬기 때문에

요약집을 70%, 기본서를 30% 참고했습니다. 


아무리 후기 찾아봐도, 요약집은 다 거기서 거기더라구요. 

요약집으로 전반적인 내용의 뼈대를 갖추고, 중요한 부분은 기본서 참고하며 살붙여 가며 공부했어요. 





 <과목별 공부 TIP> 


1) 데이터 이해  (난이도 : ★★☆☆☆)

1 과목의 경우, 점수 비중이 작다고 해서 절대 무시하시면 안됩니다. 

이론적인 내용, 예를들면 데이터 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국가와 년도 등.. 

정말 허를 찌르는 말토시 바꾸기의 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너무 당연한 보기만 나오는게 아니라 한두번 정도는 정독이 필요해요! 


맨처음에는 요약집에 요약된 내용을 훑고, 

연습문제를 풀면서 어떤식으로 문제를 내는지 파악한 뒤, 

기본서를 정독하듯이 이해하면서 2번 읽고 바로 시험 봤습니다. 

그래서인지 10점;; 정말 턱걸이 하였네요^^;



2) 데이터 분석 기획   (난이도 : ★☆☆☆☆) 

2과목 역시 1과목과 비슷한 암기식, 이론 내용이 나옵니다. 

이역시 요약집의 내용을 훑고 > 문제 유형 파악 > 기본서 1회 정독  정도로 정리하면 되겠어요. 



3. 데이터 분석 (난이도 : ★★★★★) 

대망의 3과목입니다. 

비전공자라면 정말 많이 어려우실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저는 전공자임에도 어려웠어요.. 

점수 비중도 높고 시험문제수도 가장 많구요. 공부 범위도 정말 많습니다.


3과목의 앞쪽에는 이론이 나옵니다. 내용이 정말 많아, 암기와 이해가 필요한 부분이에요. 

뒤쪽에는 각 분석법에 따라, R로 분석한 내용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멘붕일꺼에요. ㅠ 


우선 자격증을 위한 공부는 절대 100점을 위한 시험이 아닙니다. 

R을 잘 모르는데 언어 공부도 시작해야하나요? 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절대 NO입니다!! 

R 관련된 문제는 실제 시험에서 3~4개정도 나오는데요. 

아주 기본적인 함수나 패키지 정도는 익히셔야 하지만

 각종 분석(시계열, 상관분석 등..)을 일일히 R로 돌릴 필요는 없고, 분석 결과를 보고 해석할 수 있으면 되요. 


저는 이부분은 요약집만 봤는데요. 

사실 3과목에서는 '통계분석'과 '정형 데이터마이닝' 부분만 꼼꼼히 잘 공부하시면 통과할 수 있습니다. 

1) 각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어떤 분석방법을 사용할지, 

2) 해당 분석방법은 어떤 패키지 or 함수로 분석을 진행하는지, 

3) 분석결과를 보고 어떻게 해석할지 

이렇게 3단계를 머리속으로 생각하면서 공부를 하다보면, 어느정도 연관성을 가지고 암기할 수 있어요.





 <시험 응시 후기 및 참고 site>  


이번에 14회 시험을 보면서, 정말 문제가 많이 어려웠다고 느꼈어요. 

주말이랑 퇴근후 2주정도밖에 준비를 못해서, 물리적으로 준비를 많이 못한것도 있지만, 

13회를 보고 14회를 재준비했던 분들 말로는 난이도가 많이 올라갔다고 해요. 

그만큼 공신력이 높아졌다는 증거겠지요? 


14회 준비할때는 시험내용에 대한 정보가 별로 없었는데, 

이번 14회 마치고 시험 내용 리뷰하는 글들이 많이 올라왔더라구요. 

아래는 제가 시험내용 관련해서 참고했던 카페인데요, 후기글 찾아보시면 더 생생한 내용 보실 수 있습니다. 

> http://cafe.naver.com/sqlpd 




저는 내년 3월을 목표로 ADP 데이터분석 전문과 과정을 준비해볼까 합니다. 

시험 및 도서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은 언제든지 댓글로 문의주세요. 


이상 글 마치며, 일단 시작해보세요 !